LOD Expressions vs 테이블 계산식
테이블 계산식은 항상 화면이 만들어지고 나서, 그 이후에 만들어짐.
화면이 만들어져야 비율, 순위, 이동평균을 구할 수 있는 것이다.
분석 탭의 평균 라인 집어넣기를 통해 Include LOD 결과와 같은 값을 만들 수 있다.
(440, 122, 1090은 서브카테고리 레벨에서의 매출의 평균이 한 번 집계되는 것 = 집계된 그 평균값에 대해서 다시 한 번 평균으로 집계되는 것) (서브카테고리 레벨이 고려된 가중 평균)
반면,
총계로 만들게 되면 서브카테고리 레벨을 아예 무시해버리게 됨.
서브카테고리 레벨하고는 전혀 상관 없이 'Furniture', 'Office Supplies', 'Technology' 즉, 카테고리 레벨에서 모든 매출의 합계를 더하고, 그 카테고리 레벨에 있는 데이터 행의 개수로 바로 나눠주면 (343, 119, 450 이 값이 나오는 것이다.)
이것은 서브카테고리 레벨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 카테고리 레벨에서의 단순 평균값이다.
생각할 거리
LOD 표현식을 쓰지 않고도 테이블 계산식만으로 Include / Exclude의 결과와 똑같이 만들어낼 수 있다면 굳이 LOD 표현식을 쓸 필요가 있을까? LOD 표현식이 테이블 계산식과는 달리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
이 화면은 각 서브카테고리의 평균 매출이 자기 자신이 속한 카테고리의 평균 매출과 얼마 만큼 차이가 나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 LOD 표현식을 전혀 쓰지 않고 테이블 계산식만으로 만들어낼 수 없다.
과연 맞는지 확인해보자.
카테고리는 총 세가지(Furniture, Office Supplies, Technology)이고 각 항목별로 평균값을 가지고 와야 한다.
그런데 지금 이 화면에서는 카테고리의 각 항목별 평균 매출 금액을 절대로 구할 수 없다.
그 이유는 화면 안에 카테고리가 들어가 있지 않기 때문이다.
만약 카테고리가 화면 안에 들어가 있으면, 분석 탭 -> 평균 라인 -> 패널 로 집어넣어 평균값을 구할 수 있는데
지금은 카테고리가 없기 때문에, 화면에서는 패널이라는 것이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오직 테이블과 셀만이 존재한다.
이처럼 테이블 계산식은 기본적으로 화면의 조건에 따라 만들어지는 수치이기 때문에 조건이 구비되어야지만 우리가 원하는 수치들을 만들어낼 수 있다.
반면 Fixed LOD의 강점은 화면의 VLOD와는 전혀 상관 없이, 특정 차원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Fixed LOD를 통해서 해결하자.
쉽게 만들 수 있다.
테이블 계산식 대비 LOD 표현식의 강점 : 유연성
참조선(테이블 계산식)은 VLOD에 없는 차원에 대한 계산 결과를 절.대.로 만들어 낼 수 없다.
특정한 조건이 갖추어진 상황에서 숫자를 만들어내는 테이블 계산식보다는
조건과는 전혀 상관 없이 자유롭게 우리가 원하는 차원으로 숫자를 만들어 낼 수 있는 Fixed LOD가 테이블 계산식과 비교해봤을 때 훨씬 더 유연하다 라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공부내용 :
https://www.inflearn.com/course/%ED%83%9C%EB%B8%94%EB%A1%9C-%EC%A4%91%EA%B8%89
[지금 무료]태블로 레벨UP 강의 | VizLab - 인프런
VizLab | , 🗒 강의소개 강의를 만들게된 계기가 어떻게 되시나요? 왜 이 강의를 만들게 되신거죠?저는 2015년 말에 태블로라는 툴을 처음 접하게 되었습니다. 당시에도 한국에 태블로가 소개되지
www.inflearn.com
'[Tableau]'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이블 계산 필터 : LOOKUP (0) | 2025.03.26 |
---|---|
테이블 계산 필터 : LAST (0) | 2025.03.26 |
FIXED LOD 표현식 (3) (0) | 2025.03.24 |
FIXED LOD 표현식 (2) (0) | 2025.03.24 |
FIXED LOD 표현식 (1) (0) | 2025.03.24 |